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 지원사업 정리

by 골드인컴 2025. 4. 28.
반응형

 

 

2025년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 지원사업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 지원사업

 

정부는 이공계 대학원생이 안정적으로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 지원사업을 2025년부터 본격 추진합니다. 이번 지원사업은 연구활동을 수행 중인 대학원생에게 최소한의 생활비를 지원하고, 대학별로 체계적인 운영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사업 목적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 지원사업은 이공계 대학원생들이 경제적 부담 없이 연구에 몰두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생활을 보장하고, 학생 지원금 지급과 대학 단위 운영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지원 대상

  • 이공계 전일제 대학원생 중 연구활동을 수행하는 학생
  • 이공계 대학원을 운영 중인 대학 (단, 4대 과학기술원은 제외)

지원 대학 결과- 전국 29개 대학 신청 최종 선정 2025.4.25 발표

-서울대학교, 고려대학교, 연세대학교, 한양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광운대학교, 가천대학교, 가톨릭대학교, 건국대학교, 덕성여자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세종대학교, 인하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등 수도권 16개대학 선정

-부산대학교, 경상국립대학교, 강원대학교, 충남대학교, 충북대학교, 전남대학교, 제주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순천향대학교 , 국립공주대학교, 국립창원대학교, 국립한밭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포스텍) 등 비수도권 13개 대학 참여

- 수도권, 비수도권 균형있게 정부지원이 이루어 질 것으로 기대. 

지원 내용

  • 지원기간: 총 9년 (2025년 ~ 2033년)
  • 지원예산(안): 2025년 기준 약 600억 원
  • 지원금 사용처:
    • 학생 연구활동 지원금
    • 대학 계정 재원 조성 지원
    • 연구생활장려금 지급을 위한 대학별 운영비 지원
  • 2025년 사업선경 결과와 세부일정은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IRIS) 및 한국연구재단누리집에서 확인

주요 특징

  • 국가연구개발혁신법에 따라 연구개발기관 통합계정(연구비계정) 설치 및 운영 필수
  • 대학별 여건에 따라 지원 방식 및 규모 일부 조정 가능
  • 연구생활장려금은 학자금과 별도로 지급됨

사업 추진 배경

최근 이공계 대학원생의 연구환경 개선과 인재 유출 방지를 위한 정책 필요성이 커졌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연구생들에게 보다 안정적인 생활 기반을 제공하고, 대학의 연구역량 강화를 위해 이번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 지원사업을 도입하게 되었습니다.

향후 계획

2025년부터 본격 시행 예정이며, 대학 및 학생들은 구체적인 사업 지침과 신청 방법에 대한 안내를 별도로 받게 됩니다. 각 대학은 연구활동계정 관리 시스템을 정비하고, 연구비 관리 인력을 확보하는 등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맺음말

이공계 대학원생 지원을 위한 이번 사업은 단순한 금전적 지원을 넘어, 미래 과학기술 인재 양성을 위한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연구에 전념하고자 하는 이공계 대학원생들은  이와 같은 기회를 적극 참고하세요~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 지원사업

 

선정결과 공고

**한국연구재단 홈페이지**

https://www.nrf.re.kr/biz/info/notice/view?menu_no=378&page=&nts_no=240976&biz_no=645&target=&biz_not_gubn=result&search_type=NTS_TITLE&search_keyword1=

 

:: 한국연구재단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고 제2025-0457호 2025년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 지원 사업 신규과제 선정결과 공고 2025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 지원 사업 신규과제 선정결과를 다음

www.nrf.re.kr

 

**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IRIS)**
https://www.iris.go.kr/main.do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IRIS)

연구자 중심 R&D 환경 조성의 시작,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IRIS)

www.iris.go.kr

 

 

반응형